-
순자, 권학
한달간 작정하고 '그리던' 순자 권학 시리즈를 대강 마무리 지었습니다. <권학>편 중에서 좋아하는 문구만을 편집하여 써본 것입니다. 각각의 내용들에 대해선, 제 사진첩의 내용들을 참고하시면 됩니다. 해석은 각자의 자유이므로 그냥 그림에 박아넣은 한글 설명으로도 충분하며, 도서관에서 순자 책을 빌려서 알...Date2018.04.09 Category글씨 Reply0 -
[번역] 인구오너스의 노동을 생각한다.
인구오너스하의노동을생각한다.hwp 일본노동연구잡지 2016년 9월호 특집 : 인구구조의 변화 인구오너스의 노동을 생각한다. 코미네 타카오 (小峰隆夫 法政大学教授) 일본 인구 구조는 크게 변하고 있으며 그 변화는 경제와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가져오고 있다. 노동도 예외는 아니다. 인구 변화는 일본의 노동 환경을 바꾸...Date2018.01.21 Category번역 Reply1 -
파랑새는 있다
작가 김운경을 대표하는 드라마이자 비운의 걸작으로 손꼽는 드라마다. 어릴때 인상깊게 본 드라마인데, 당시에도 뛰어난 드라마지만 재미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. 다만 이 드라마의 후반부를 보지 못해서 이 드라마의 결말을 몰랐다. 드라마는 어른들에게 눈동냥으로 보는 것이라 내가 어찌 할 수 없는 것이었다. 순...Date2018.01.15 Category시청소감 Reply0 -
[번역] 일본 프랜차이즈의 고용과 노동의 논점
원문 링크 : http://www.jil.go.jp/institute/zassi/backnumber/2017/01/pdf/004-014.pdf 한글 파일 : 일본프랜차이즈조직의고용과노동의논점.hwp 일본 프랜차이즈의 고용과 노동의 논점 이누카이 토모노리[犬飼知徳] (쥬우오대학 준교수) 원문 : 日本労働研究雑誌 2017年1月号(No.678) 「日本のフランチャイズ組織における...Date2017.05.01 Category번역 Reply0 -
No Image
[번역] 해제: 프랜차이즈의 노동문제
해제: 프랜차이즈의 노동문제 『일본노동연구잡지』편집위원회 노동관계는 전통적으로 기업과 노동자의 양자 관계가 중심이었다. 그러나, 현재는 반드시 양자 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기업에 의한 노동관계를 널리 볼 수 있게 되었다. 예를 들면 출향[出向]처럼 노동자와의 고용관계가 출향 처 기업과 원기업간 쌍방 존재...Date2017.04.19 Category번역 Reply0 -
하야미즈 겐로, 라멘의 사회생활
1. 내가 어릴 적에 라면은 구공탄에 끓여야 제 맛이라고 노래 불렀다. 아기공룡 둘리의 애니매이션이 방영 된 것이 1987년부터였으니까 이 노래는 87년 당시 라면에 대한 일상적 풍경을 담았다고 할 수 있다. 하지만 이 노래를 좋아했던 나 부터가 구공탄이라는 물건을 본 적이 없다. 엄마에게 물어보니 ‘구공탄&rsqu...Date2017.04.18 Category책읽기 Reply0 -
No Image
[번역] 제언 : 프랜차이즈의 노동문제
일본노동연구잡지 678호에 개제된 특집을 차례대로 번역해 올려두고자 합니다. 짬짬이 하는 것이라 시간은 좀 걸릴 것 같고... 일단 다음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. 해제 : 프란차이즈의 노동문제 논문 : 일본 프랜차이즈조직의 고용과 노동의 논점 프랜차이즈 규약의 니론과 실증 편의점주의 노동자성-프랭자이트 규약과 노...Date2017.04.15 Category번역 Reply0 -
[번역] 생활급의 원류와 발전
세줄요약 : 임금의 생활보장성은 노자간의 합의에 의한 것. 자본이 없애고 싶어도 노동운동의 저항에 따라 당분간 유지되겠으나 차츰 줄어들 전망. 일본 임금체계 쪽은 그만읽고, 앞으로는 좀 더 유행과 관련 된 것을 보겠음. 특집 : 이 논의는 어디로 가는가 임금·복리후생과 노동 일본노동연구잡지 42 No. 609 / April 20...Date2017.04.10 Category번역 Reply0 -
[번역]저성장과 일본적 고용관행-연공임금과 종신고용의 보완을 중심으로
특집 저성장과 임금의 변화 일본노동연구잡지 No.611, 2011 6월 저성장과 일본적 고용관행 연공임금과 종신고용의 보완을 둘러싸고 하마아키 쥰야 [濱秋純哉] (내각부 경제사회총합연구소 연구관) 호리 마사히로 [堀雅博] (히토츠바시대학 교수) 마에다 사에코 [前田佐恵子] (내각부 경제사회총합연구소 특별연구원) 무라타 ...Date2017.04.10 Category번역 Reply0 -
박경숙, 문제는 무기력이다, 와이즈베리
예전에 한 번 보았던 서평이 기억나 사 읽게 되었다. 보다보니 2013년에 나왔고 13쇄나 찍은, 나름 잘 팔린 책인 것을 알았다. 저자가 제시하는 이론은 마틴 셀리그만의 '학습된 무기력' 연구에서 많이 따온 것 같다. 각설하고. 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연구소에 취직한 A. 처음에는 매우 의욕적으로 학생들과 ...Date2017.04.05 Category책읽기 Reply0